카테고리 없음 / / 2025. 6. 25. 22:42

2025년 재산세 과세증명서 인터넷 및 오프라인 발급 방법을 정리했습니다. 필요한 서류와 주의사항

반응형
2025년 재산세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 (인터넷·오프라인) 총정리

2025년 재산세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 (인터넷·오프라인) 총정리

재산세 납부 후 행정처리나 대출, 증빙에 필요한 재산세 과세증명서, 어떻게 발급받는지 궁금하시죠?
2025년 기준으로 인터넷과 오프라인 발급 방법, 필요서류, 주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😊

📌 정부24 재산세 과세증명서 발급 바로가기

✅ 재산세 과세증명서란?

‘재산세를 얼마 납부했는지’ 혹은 ‘재산에 대한 과세 내역’을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서류로, 부동산 거래, 대출, 세무처리 시 자주 사용돼요.

💻 인터넷 발급 방법 (정부24)

  1. 정부24 접속 → https://www.gov.kr
  2. 상단 검색창에 “재산세 과세증명서” 입력
  3. "지방세 과세증명서(재산세 포함)" 클릭
  4.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
  5. 신청서 작성 후 발급
  • 수수료: 무료
  • 발급 시간: 365일 24시간
  • 형태: PDF 출력 가능

🏢 오프라인 발급 방법 (방문 신청)

📍 발급처

  • 주민센터(읍/면/동 행정복지센터)
  • 시/군/구청 세무과
  • 무인민원발급기 (일부 지역 가능)

📝 필요서류

  • 본인 신청: 신분증
  • 대리인 신청: 위임장 + 대리인 신분증 + 위임자 신분증 사본

💰 수수료 및 운영시간

  • 수수료: 무료 ~ 300원 (지자체별 상이)
  • 운영시간: 평일 09:00~18:00 / 무인기: 장소별 상이

📎 주의사항 및 꿀팁

  • 공동명의는 명의자별 개별 발급 필요할 수 있어요.
  • 과세연도 선택 가능 — 필요한 연도 정확히 확인!
  • 과세 사실 없음도 발급 가능 (소유 중인 부동산이 없을 경우)
  • 대리 신청 시 위임장 양식은 정부24 또는 시청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

📊 요약 정리

구분 인터넷 (정부24) 오프라인 (방문)
방법 온라인 신청 주민센터, 세무과 방문
운영시간 365일 24시간 평일 09~18시 (무인기 다양)
수수료 무료 0~300원
필요서류 공동인증서/간편인증 신분증, 위임장 등

재산세 과세증명서, 상황에 따라 인터넷 또는 오프라인으로 편하게 발급받으세요!
도움이 되셨다면 공유도 부탁드려요 😊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